◆ p.50 [예제 2-4 두 번째 마디] 2개의 2분음표 대신 3개의 4분음표 -> 2개의 4분음표 대신 3개의 4분음표 ◆ p.141 [표 3-5]에서 ‘박자의 분류’ 옆의 숫자는 3이 아니라 2입니다. 따라서 [표 3-5] 아래의 본문 중 “실제 기보에 있어서는 겹3박자의…”는 “실제 기보에 있어서는 겹2박자의…”로 바뀝니다. ◆ p.188 text 중에서 결과적으로 이 두 예제는 모두 3/4박자의 악센트보다 선율 유형의 악센트를 따르고 있어 앞서 공부한 레가토 용법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을 알수 있다. 여기서 3/4을 빼주세요. -> 결과적으로 이 두 예제는 모두 박자의 악센트보다 선율의 유형의~ ◆ p.241 연습문제 4번 - (6) f# harmonic -> f#melodic ◆ p.288 [악보 7-8] 건반그림이 아래로 수정되었습니다.  ◆ p.294 [예제7-4] 장6도?->증5도!(A6) -> 장6도?->증6도!(A6) [표7-8]에서 세번째 줄의 C4-Eb4 ----->C4-E4
◆ p.296 [표 7-10] "반음-온음" 패턴의 8음음계를 구성하는 음정 음정 C4-D#4 관찰 부분 둘째줄 그러나 윗음 "C"에 -> 그러나 윗음 "D"에
◆ p.297 [예제 7-6]의 제목은 이명동음정의 예가 아니라 “단음정의 음정성질 변화”입니다.
◆ p.301 [표7-9] 장7도 음정성립 조건 시작 부분 : 장6도->장7도
완전8도 음정 성립 조건 시작 부분 : 장7도->완전8도 ◆ p.338 [악보 8-21] 악보가 수정 되었습니다.  ◆ p.530 [연습문제 11-4 보기]e♭ : Ⅴ - ⅵ ---> Ⅴ - Ⅵ ◆ p.586 [연습문제 12-5-①]  ◆ p.586 [연습문제 12-5-①]  ◆ p.593 ⑥ 이는 G Major의 강진행 Ⅴ→ Ⅰ가 성립되므로, 제4마디 제 3,4 박에서 -> 제 2,3 박에서 ◆ p.599 악보에 나온 마디 번호가 잘못되었습니다. 번호가 하나씩 줄어야 합니다. 마디 번호 10 --> 9
마디 번호 14 --> 13
마디 번호 18 --> 17 마디 번호 19 --> 18
◆ p.682 [연습문제 2-8 2번 ⑦] 의 정답 A4가 아니라 A3입니다. ◆ p.698 [연습문제 3-12(175쪽) 1. ⑩] Allegretto : 보다 덜 빠르게 --> Allegretto : Allegro 보다 덜 빠르게 ◆ p.706 [연습문제 5-2-4 답안(8)] Bb -> B 혹은 Bn ◆ p.708 [연습문제 6-1(266쪽) 2. - (1)] F Major scale 음계도수 4에 내림표(b) 표기 빠져있습니다. ◆ p.709 [연습문제 6-1(266쪽) 3. - (3)] A♭Major Scale: 3/가온음 -> 1/으뜸음 ◆ p.710 [연습문제 6-2(272쪽)2-(1)] 4-5 사이의 호선이 5-6으로 옮겨졌습니다. ◆ p.713 [연습문제 7-2(287쪽) ⑦] G4-A5 → G5-A5 ◆ p.714 [연습문제 7-3(299쪽) 1. ⑩] 증3도 → 증2도 ◆ p.716 [연습문제 7-7(313쪽) 28] 감5도(중4도) → 감5도(증4도) ◆ p.718 [연습문제 8-1(341쪽) 3. - ⑥] 조표 : 내림표 4개 -> 내림표 3개 조성 : A♭/f ---> E♭/c ◆ p.751 [연습문제 11-1(520) (5)] g# : Ⅴ - Ⅰ --> Ⅴ - ⅰ ◆ p.752 [연습문제 11-3(527쪽) (4)] d : ----> D : ◆ p.759 [연습문제 12-5(586쪽)] 1. 전타음, 경과음, 경과음 -> 전타음, 경과음, 이중경과음 2. 경과음, 이탈음, 이중경과음,(미해결)계류음,보조음 -> 경과음, 이탈음, 이중경과음, (미해결)계류음 혹은 (미해결) 지연음, 보조음, 경과음
|